<영어 원문>
History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drew international attention when North Korea announced that it would withdraw from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Treaty (NPT) in 1993. Since the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has gone through a cycle of progress and regress.
The Agreed Framework (Geneva Agreement) of 1994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led to a freeze of North Korea’s plutonium nuclear facilities for several years. However, the agreement eventually collapsed as suspicion about the North’s nuclear development using enriched uranium was raised and North Korea restarted its plutonium nuclear facilities in 2002.
In 2003, the Six-Party Talks was launched, involving South and North Koreas as well as the U.S., China, Japan and Russia. The Six-Party Talks achieved some progress by adopting the “Joint Statement of the Fourth Round of the Six-Party Talks” on September 19, 2005; “Initial A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Joint Statement” on February 13, 2007; and “Second-Phase A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Joint Statement” on October 3, 2007. However, the Six-Party Talks has not convened since December 2008, as the parties failed to agree on the verification protocol.
Even during the Six-Party process, North Korea sought to possess nuclear weapons, conducting its first nuclear test in 2006 and the second test in 2009. Suspicions on the North’s uranium enrichment activities were brought to light after Pyongyang made public about its relevant facilities at Yongbyon in 2010.
<파파고>
북핵 문제의 역사
북한 핵 문제는 북한이 1993년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탈퇴하겠다고 발표했을 때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다. 이후 북핵 문제는 진전과 퇴보의 순환을 거쳤다.
1994년 미국과 북한이 합의한 제네바 합의는 북한의 플루토늄 핵시설을 수년간 동결시켰다. 그러나 농축우라늄을 이용한 북한의 핵개발 의혹이 제기되고 2002년 북한이 플루토늄 핵시설을 재가동하면서 합의는 결국 결렬됐다.
2003년 남북한은 물론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이 참여하는 6자회담이 시작되었다. 6자회담은 2005년 9월 19일 '4차 6자회담 공동성명', 2007년 2월 13일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초기조치', 2007년 10월 3일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2단계 조치'를 채택하면서 어느 정도 진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검증의정서에 합의하지 못해 2008년 12월 이후 6자회담이 열리지 않았다.
북한은 6자회담 기간에도 2006년 1차 핵실험, 2009년 2차 핵실험을 실시하며 핵무기 보유를 추진했다. 북한의 우라늄 농축 활동에 대한 의혹은 2010년 북한이 영변 핵시설 관련 사실을 공개한 뒤 드러났다.
<구글 번역기>
북핵문제의 역사
북핵 문제는 1993년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탈퇴하겠다고 선언하면서 국제사회의 이목을 끌었다.
1994년 미북간 기본합의(제네바협정)로 인해 북한의 플루토늄 핵시설이 수년간 동결되었다. 그러나 2002년 북한의 농축우라늄 핵개발 의혹이 제기되고 북한이 플루토늄 핵시설을 재가동하면서 합의는 결국 무산됐다.
2003년에는 남한과 북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참여하는 6자회담이 시작되었습니다. 6자회담은 2005년 9월 19일 "제4차 6자회담 공동성명"을 채택함으로써 어느 정도 진전을 이뤘다. 2007년 2월 13일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초기 조치"; 그리고 2007년 10월 3일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2단계 조치". 그러나 6자회담은 당사자들이 검증 프로토콜에 동의하지 않아 2008년 12월 이후 소집되지 않았습니다.
6자회담 과정에서도 북한은 2006년 1차 핵실험과 2009년 2차 핵실험을 하며 핵보유를 모색했다. 2010년 영변.
<나의 MTPE 결과물> (빨간색은 모범 답안과 비교한 수정)
북핵 문제의 역사
북핵 문제는 북한이 1993년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하면서 국제적인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후 북핵 문제는 진보와 퇴보를 거듭 반복했다.
(1993년 북한이 핵확산방지조약(NPT) 탈퇴를 선언하면서 본격화된 북핵 문제는 오랜 기간동안 진전과 후퇴를 거듭해 왔습니다.)
1994년 미국과 북한이 합의한 제네바협정으로 (미•북 제네바합의(Agreed Framework)가 타결된 이후,) 북한은 플루토늄 핵시설을 수년간 동결하였다. 그러나 2002년 북한의 농축우라늄 핵 개발 의혹 및 플루토늄 핵시설 재가동으로 인해 합의는 결국 결렬되었다. (북한의 플루토늄 핵시설이 수년 간 동결되는 등 북핵문제는 진전을 보이는 듯 하였으나, 2002년 북한의 농축 우라늄 핵개발 의혹 및 플루토늄 핵시설 동결 해제 조치 등으로 인해 제네바합의는 8년 만에 폐기되고 북핵위기는 다시 고조되었습니다.)
2003년에는 남북한을 포함하여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가 6자 회담에 참여했다. 6자 회담을 통해 2005년 9월 19일에는 '제4차 6자 회담 공동성명'을, 2007년 2월 13일에는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초기조치'를, 2007년 10월 3일에는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2단계 조치'를 채택하는 등 어느 정도 진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검증의정서 합의에 실패하면서 2008년 12월 이후 6자회담은 열리지 않았다.
북한은 6자회담이 진행되는 와중에도 2006년 1차 핵실험, 2009년 2차 핵실험을 실시하며, 핵무기를 보유하고자 했다. 2010년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공개하면서 우라늄 농축 활동에 대한 의혹이 사실로 드러났다.
북핵문제를 대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주변국들의 노력으로 2003년 남•북 및 미•중•일•러가 참가하는 6자회담이 출범하였고, 6자회담은 2005년 9•19 공동성명, 2007년 2•13 합의 및 10•3 합의 채택 등 일부 진전을 이루어냈습니다. 그러나 핵물질 및 핵시설 검증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6자회담은 2008년 12월을 마지막으로 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9.19 공동성명, 2.13 합의, 10.3 합의 등을 이행해나가는 과정 속에서도, 북한은 핵무장을 통한 '강성대국' 실현을 착수해나갔고, 2006년 첫 핵실험 실시, 2009년에는 2차 핵실험을 감행하였습니다. 아울러,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사건, 동년 11월 연평도 포격도발사건 등 남북관계가 극단적으로 악화되던 시기, 북한은 11월 12일 영변의 우라늄 농축시설을 전격 공개함으로써 그간 북한을 둘러싼 모든 핵의혹은 사실로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영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 번역 연습 - TED "How to speak so that people want to listen" - Part1 (1) | 2022.02.12 |
---|---|
번역가 준비 - MTPE 연습 (인권위원회 연간보고서) (0) | 2022.01.30 |
번역가 준비 - MTPE 연습 (현대자동차 지속가능경영보고서) (0) | 2022.01.17 |
[초보 번역영어 문법정리] 특수구문 (Inversion, Emphasis, Ellipsis, etc.) (2) | 2021.12.29 |
[초보 번역영어 문법정리] 전치사 (Preposition) (0) | 2021.12.29 |